안녕하세요~
혹시 전월세 계약할 때 신고해야 한다는 거, 알고 계셨나요?
2021년부터 시행된 전월세신고제, 이제는 선택이 아니라 무조건 해야 하는 제도예요.
2025년 현재도 여전히 중요한 이 제도, 헷갈릴 수 있는 부분까지 싹~ 정리해드릴게요!
특히 전월세 신고 과태료 부분도 꼭 확인해두세요!
전월세신고제, 대체 왜 해야 해요?
전월세신고제는 쉽게 말하면,
"정부에 전월세 계약 내용을 알리는 제도"예요.
이걸 왜 하냐면요,
- 임대차 시장을 투명하게 만들기 위해서
- 임차인의 보증금 보호, 그리고
- 나중에 분쟁 생기면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!
정부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임대차 정책도 만들고, 임차인 권리 보호까지 이어진답니다.
생각보다 중요한 제도죠?
누가, 언제까지 전월세 신고해야 하냐고요?
✔️ 누가?
임대인과 임차인이 공동으로 신고해야 해요.
근데 현실적으로는 임차인이 단독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요.
✔️ 언제까지?
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!
이거 까먹으면 과태료가 나옵니다 😰
📌 예를 들어, 2025년 4월 10일에 계약했으면
→ 5월 9일까지 신고해야 해요!
전월세 신고 안 하면 과태료 얼마?
자, 여기서 제일 궁금한 부분!
“신고 안 하면 얼마나 내야 해요?” 바로 이거죠.
상황 과태료 금액
미신고 또는 허위 신고 | 최대 100만 원 이하 |
계약 변경/해지 미신고 | 최대 100만 원 이하 |
정당한 사유 없이 신고 거부 | 최대 100만 원 이하 |
💡 하지만!
2025년 현재도 일부 지역은 과태료 유예 중이니까, 거주지 관할 시청/군청 확인 필수예요!
신고는 어떻게 하냐고요? 진짜 간단해요!
📌 온라인 신고
👉 부동산거래신고시스템 들어가서
👉 공동 인증서만 있으면 5분 컷!
📌 오프라인 신고
👉 동네 주민센터 가서
👉 임대차 계약서 + 신분증 들고 방문하면 끝~
요즘은 온라인 신고가 워낙 편해서, 대부분 다 홈에서 처리하더라고요!
전월세 신고할 때 챙겨야 할 서류는?
임대차 계약서 | 원본 또는 사본 가능 |
신분증 | 임대인·임차인 모두 (공동 신고 시) |
공동인증서 | 온라인 신고 시 필요 |
확정일자도 함께 받으면 보증금 보호에 더 안전하니까
같이 신청하는 거 강추!
마무리 한마디
2025년에도 여전히 중요한 전월세신고제
특히 신고 안 하면 과태료 나올 수 있다는 점, 꼭 기억해두셔야 해요.
계약하셨다면 무조건! 30일 안에 신고하시고,
모르면 동사무소나 부동산거래신고 시스템 들어가보세요. 다 나와 있어요~
임차인도, 임대인도
우리 권리는 우리가 지켜야죠! 😉
'생활정보§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관세 유예에 대해서 총정리!! 관세 90일 유예! (2) | 2025.04.10 |
---|---|
밥 먹고 졸린 이유, 알고 보면 혈류 이동과 세로토닌 작용 때문! (0) | 2025.04.10 |
2025년 4월 10일 오늘의 운세 띠별 운세 행운번호 (0) | 2025.04.10 |
2025년 4월 9일 오늘의 운세 띠별운세 무료보기! (0) | 2025.04.09 |
새출발기금 채무조정 신청 전,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총정리! (4) | 2025.04.08 |
댓글